|
주적으로 변할 때 동북아에 다자간 안보공동체가 설립될 가능성이 커질 것이다.
Ⅶ. 동북아다자안보협력(동북아시아다자간안보협력)과 한국의 과제
동북아 다자간안보협력이 한반도 평화구축에 미치는 긍정적 요인은 위에서 적시되었다.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7.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는 입장이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할 때, 북한의 참여가 유동적이라는 점과 일본과 중국에 의한 아시아의 지역패권경쟁의 가능성 및 군사력의 증강, 현대화 등이 동북아시아의 다자간 안보협력을 어렵게 하는 핵심적인 과제로 부상될 것으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능성과 아울러 세력균형 움직임의 가속화를 통해 안보불안을 고조시키고 다자간 안보협력을 저해할 위험성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한미동맹의 유연화가 동북아 다자간 안보협력의 전제조건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8.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협력과 지원을 ‘공급’할 전력상의 이유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중 특히 미국의 동북아에서의 전략 변화 그리고 그러한 전략의 중국의 전략적 이해와의 합치는 향후 동북아에서 다자안보협력의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보여주고 있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안보전문가들이 구체적 논의를 시작하였다.
다섯째, 이후부터는 제한적 비핵지대의 적용범위, 핵무기 비확산, 대량살상무기 통제, 동북아 국가간 안보협력 강화, 정부간 회의체(Track-1)로의 승격 등을 논의하고 있다. 지금까지 논의된 제한적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