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용복은 일본에 밀항했을 때 울릉도에는 15명의 일본인들이 있었다고 증언했는데 그렇게 되면 독도의 인구는 더 늘어나게 됩니다. 이것은 안용복이 실제로는 독도를 모르고 있었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다.
즉 일본측의 전체입장은 안용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4.1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한국측 기록
1) 삼국사기(1145년)
2) 태종실록
3) 고려사 지리지
4) 세종실록 지리지
5) 신중동국여지승람
6) 안용복 사건(울릉도 쟁계, 다케시마 일건)
7) 동국문헌비고(1770), 중보문헌비고(1908)
8) 만기요람(1808)
9) 대한 제국의 칙령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08.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韓日關係史
~ 독도영유권문제 ~
☆목차
1.들어가기에 앞서..
2.독도?
3.안용복사건-죽도일건(竹島一件,일본측명칭)(1693~1696)
◎제기
◎사건의 진행
◎안용복 사건에서 나타난 독도문제
4. 1905년 독도의 시마네현 편입
◎독도의 시마네현 편입
◎19
|
- 페이지 36페이지
- 가격 3,800원
- 등록일 2015.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안용복
Ⅱ. 유령의 섬, 다케시마
Ⅲ. 안용복의 제2차 도일투쟁
Ⅳ. 아무도 주목하지 않았지만, 모두가 주목하는 삶
Ⅴ. 마츠시마에서 다케시마로 바뀐 독도
Ⅵ. 울릉도• 독도 개척사, 김옥균
Ⅶ. 독도가 석도가 된 까닭
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안용복과 독도의용수비대에 대하여 이야기하는데 이들은 독도에 대한 일본의 실효적 지배를 막은 역사속의 유일한 인물들이라는 점에서 우리는 그들의 중요성을 인지해야 함.
가. 조선시대
○ 1403년(태종3년)에 울릉도 주민을 육지로 이주시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6.07.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