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어어휘가 가졌던 결함이 한자어에 의하여 메꾸어진 것이다. 오늘날 인명지명관명 등이 한자어 일색으로 된 것은 여기에서 비롯된 것이라 하겠다. 1. 국어의 계통
2. 알타이어의 공통점
3. 국어사의 시대구분
4. 고구려어의 특징
5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0.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와 알타이어의 음운대응의 예 몇 가지>
국어 - 아래
에벤키어 - alas(脚)
몽고어 -ala(사타구니)
고대터키어 - al (下面)
국어 - 발(足)
골디어 - palgan(足)
에벤키어 - halgan(足)
중세국어 - 믈(水)
만주어 - muke(水)
에벤키어 - mu(水)
몽고어 - moren(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9.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가 알타이어족
의 일파라는 설은 점차 그 기반이 확고해 지고 있다.
6 . 2 국어의 형성과 시대구분
국어의 형성
① 국어는 단일(單一)언어로서 알타이조어에서 분화된 후 계속 한줄기로 내려왔다
- Poppe
② 이기문
알타이조어
터몽퉁 공통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5.03.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는 알타이어와 밀접한 관계에 있고 가장 개연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연구에 의해 한국어와 알타이어 사이에 공통적 요소가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설득력이 강하지는 못하지만 언어의 친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3.10.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음이 바뀜으로써 나타나는 차이는 감정가치의 문제지 문법적인 문제는 아니다. 예) 파랗다-퍼렇다, 붉다- 1. 언어의 계통과 그에 대한 연구 방법
2. 한국어와 알타이어의 관계에 대한 견해
3. 알타이어와 국어의 관계
참고문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4.0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