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중독
원인식품
해산어패류 및 그 가공품(생선회나 초밥 등이 주된 원인식)
2차 오염된 도시락, 야채샐러드 등의 복합식품
감염원 및 감염경로
연안의 해수, 흙, 플랑크톤 등에 널리 분포
장염비브리오균에 오염된 해수 → 어패류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6.13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패류의 생식을 삼가야 한다며 비브리 오균은 다른 식중독균에 비해 증식이 활발하므로 횟집 등에서 도 마 칼 행주 등의 살균 소독을 철저히 할 것을 당부했다.
▣ 식중독 응급처치 방법
1. 음식을 먹으면 설사가 더 심해질 수 있으므로 음식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간이 걸린다. 잠복기는 12~24시간이다. 사람에서 사람으로의 전염은 없다.
Ⅶ. 장염비브리오균과 식중독
일본 등지에서 하절기 식중독의 50%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가장 흔한 식중독인데 근래 한국에서도 어패류등 해산물을 날로 먹는 식생활습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 균 량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매우 짧다.
2. 장염비브리오의 오염 경로
장염비브리오는 바닷물에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오염원은 해산 어패류다. 여름철이 되면 근해산의 고등어, 문어, 오징어, 피조개 등의 표피내장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중독 방지 요령」한국건강관리협회
주방은 항상 청결해야 한다.
손을 잘 씻는다.
생 식육, 어패류, 알류를 취급한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는다. 음식물 취급 중에 동물과 접촉하거나 화장실에 가거나 기저귀를 갈거나 코를 푼 다음에는 손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5.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