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장염비브리오균의 정의
Ⅲ. 장염비브리오균의 성질
Ⅳ. 장염비브리오균의 증상
Ⅴ. 장염비브리오균의 활성화인자
1. 식염
2. pH
3. 온도
Ⅵ. 장염비브리오균의 감염경로
Ⅶ. 장염비브리오균과 식중독
Ⅷ. 장염비브리오균의 예방법
참고문헌
Ⅱ. 장염비브리오균의 정의
Ⅲ. 장염비브리오균의 성질
Ⅳ. 장염비브리오균의 증상
Ⅴ. 장염비브리오균의 활성화인자
1. 식염
2. pH
3. 온도
Ⅵ. 장염비브리오균의 감염경로
Ⅶ. 장염비브리오균과 식중독
Ⅷ. 장염비브리오균의 예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이 걸린다. 잠복기는 12~24시간이다. 사람에서 사람으로의 전염은 없다.
Ⅶ. 장염비브리오균과 식중독
일본 등지에서 하절기 식중독의 50%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가장 흔한 식중독인데 근래 한국에서도 어패류등 해산물을 날로 먹는 식생활습관이 많아짐에 따라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해산물을 먹은 후 6- 48시간 이내에 급성 설사를 보인다. 대개 24시간 이내에 자연히 회복되기 때문에 특별한 치료는 없다.
Ⅷ. 장염비브리오균의 예방법
장염비브리오식중독에 걸리지 않으려면 날생선이나 어패류 등의 해산물을 충분한 온도(60℃에서 15분 이상, 80℃에서 7~8분 이상)에서 요리한 후 먹어야 한다. 환자의 배설물 및 배설물이 묻은 물건 등은 철저히 소독해야 한다. 특히 바닷가 유람선의 요리장에서는 바닷물을 사용해서 요리하는 것을 피해야 하며, 이미 요리된 해산물이 요리 안 된 해산물이나 바닷물에 폭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참고문헌
김상숙 - 한국에서 유행하는 장염 비브리오균의 분자 역학적 특성, 안동대학교, 2003
박석기 외 6명 - 식중독 환자에서 분리한 장염비브리오균의 분자생물학적 특성, 보건환경연구원, 2002
이재인 외 7명 - 유통 수산물중 대장균과 장염비브리오균의 오염실태, 보건환경연구원, 2003
이재원 - 장염 비브리오균이 생산하는 콜라겐 분해효소의 특성 연구, 부산대학교, 2004
이향 외 3명 - 어패류에서 분리한 장염비브리오균의 분포 및 항균제 감수성, 한국환경보건학회, 2007
정윤태 외 9명 - 장염비브리오균의 용혈성 유전자 검색과 병원성에 관한 연구, 보건환경연구원, 2002
Ⅶ. 장염비브리오균과 식중독
일본 등지에서 하절기 식중독의 50%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가장 흔한 식중독인데 근래 한국에서도 어패류등 해산물을 날로 먹는 식생활습관이 많아짐에 따라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해산물을 먹은 후 6- 48시간 이내에 급성 설사를 보인다. 대개 24시간 이내에 자연히 회복되기 때문에 특별한 치료는 없다.
Ⅷ. 장염비브리오균의 예방법
장염비브리오식중독에 걸리지 않으려면 날생선이나 어패류 등의 해산물을 충분한 온도(60℃에서 15분 이상, 80℃에서 7~8분 이상)에서 요리한 후 먹어야 한다. 환자의 배설물 및 배설물이 묻은 물건 등은 철저히 소독해야 한다. 특히 바닷가 유람선의 요리장에서는 바닷물을 사용해서 요리하는 것을 피해야 하며, 이미 요리된 해산물이 요리 안 된 해산물이나 바닷물에 폭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참고문헌
김상숙 - 한국에서 유행하는 장염 비브리오균의 분자 역학적 특성, 안동대학교, 2003
박석기 외 6명 - 식중독 환자에서 분리한 장염비브리오균의 분자생물학적 특성, 보건환경연구원, 2002
이재인 외 7명 - 유통 수산물중 대장균과 장염비브리오균의 오염실태, 보건환경연구원, 2003
이재원 - 장염 비브리오균이 생산하는 콜라겐 분해효소의 특성 연구, 부산대학교, 2004
이향 외 3명 - 어패류에서 분리한 장염비브리오균의 분포 및 항균제 감수성, 한국환경보건학회, 2007
정윤태 외 9명 - 장염비브리오균의 용혈성 유전자 검색과 병원성에 관한 연구, 보건환경연구원, 2002
추천자료
김치에 대한 소 논문
곰팡이독
식품위생학습지도안
Bacillus cereus 살균법
중화 적정법을 이용한 귤, 사과, 포도주스, 오렌지주스의 유기산 정량
[학교보건]학교내 환경위생 및 식품위생검사 현황과 개선방안
Part1. 식품위생개론 (15문제)
주방의 식품위생관리
[장출혈성대장균][병원체]장출혈성대장균의 개념, 장출혈성대장균의 역사, 장출혈성대장균의 ...
2013년 2학기 식품위생학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5년 2학기 식품위생학 기말시험 핵심체크
[지역사회간호학] 식품과 건강(A+)
[단체급식관리 공통] 교육기관, 산업체, 의료기관, 사회복지시설, 영유아보육시설 등의 급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