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휘에 의한 경어법
중세국어에서도 현대국어와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경어법이 발달했었다. 주체를 높이는 말로 ‘잇다’에 대하여 ‘겨시다’가 나타나고, 객체를 높이는 말로 ‘니르다’에 대해 ‘다, Ⅰ. 서론
Ⅱ. 고대국어
1.1 언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서론
Ⅱ. 고대국어
1.1 언문이치의 생활
1.2 삼국의 언어
Ⅲ. 중세국어
2.1 의미관계
2.1.1 유의어
2.1.2 동음이의어
2.1.3 반의어
2.2 한자어
2.3 차용어
2.4 음상의 차이에 의한 어휘분화
2.5 의성의태어
2.6 쌍형어
2.7 어휘에 의한 경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2.01.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국어의 현제시제 선어말어미 \"가\"가 \"가/는( )\"으로 변하였다.
어휘상의 특징으로는 고유어의 사어화 경향이 현저하다. \"뫼(山), 가 (江), 아 (親戚)\".어휘의 의미에 있어서도 변화가 일어났다. 즉 \"어엿브다\"가 \"불쌍하다(燦)\"의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명사의 경우 ‘he, his, him’처럼 주격, 소유격, 목적격이 구별)
명사의 형태만으로 문법적 기능이 드러나지 않으므로 어순이 엄격
어휘의변화
예) 훈민정음
이런젼로 어린 百姓셩이 니르고져 배이셔도,
내 제 들 시러 펴디 없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10.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 국어
8.1. 전기와 후기 중세 국어의 시기와 자료
8.2. 후기 중세 국어의 음운론적 특질
8.3. 후기 중세 국어의 문법적 특질
9. 근대 국어
9.1. 근대 국어의 시기와 특징
9.2. 근대 국어의 음운변화
9.3. 근대 국어의 문법적 특질
|
- 페이지 21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8.08.22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