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때문이다. 이는 15,16세기의 ‘장-쟝, 저-져, 적- 1. 들어가는 말
1) 연구 목적 및 방법, 문제제기
2) 기존연구 검토 및 비판
2. 구개음화 현상의 시대별 고찰
1)고대~전기 중세국어
2)후기 중세국어
3)근대국어
4)현대국어
3. 결론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5.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 모음 체계의 변동에 관한 고찰 : 중세 국어 모음 체계의 재구를 위한 방법론적 시도, 동아 문화 2, 1964
김무림 / 중기 국어 모음 체계 일고, 어문논집 28, 1989
김차균 / 훈민정음 해례의 모음 체계, 선오당 김형기 선생 팔질기념 국어학 논총,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8.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대 국어 어휘의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다.
선어말어미 \'-오-/-우-\'가 16세기에 쓰이지 않게 됨에 따라 명사형어미 \'-옴/-움\'도 \'-(으)ㅁ\'으로 바뀌어 중세어의 \'아놈, 아뇹, 우룸, 우숨, 입힐홈/입힐훔\' 등이 16세기부터 차차 \'아늠·아름, 아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 국어 표기법의 전통을 계승한 것으로 유기음 종성이 후속모음의 초성으로 표시되거나 ㅎ이 무성음 ‘ㄱ,ㄷ,ㅂ,ㅈ’과 결합하여 유기음으로 실현된 것이다. 이 유형은 근대 초 기 문헌에 드물게 나타난다.
2유형 (겻틔형): 어간말에 표기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 변화를 반영하는 자료로 중시되었다. ‘두시언해’는 불경언해가 주종을 이루던 당시 최초의 시가 언해서 라는 점과 초중간본이 동시에 존재함으로써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의 언어 변화를 비교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국어학계의 주목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6.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