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0건

첩해신어 개수 1차본의 국어학적 고찰 / 이태영 어중의 ‘ㄹㄹ’이 ‘ㄹㄴ’으로 표기되는 표기법의 변화는 17세기 국어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18세기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아 왔다. 따라서 첩해신어의 원간본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보이지 않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첩해신어문석(捷解新語文釋)』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편저자: 金健瑞(朝鮮)編 판본사항: 木板本 간행지: 刊地未詳 간행연도: 正祖 20年(1796년) 간행자:刊者未詳 책권수: 12卷 4冊 책크기: 33.8×21cm 匡郭: 四周雙邊 半郭:22.6×15.6cm 版心: 上花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9.04.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첩해신어, 인어대방, 노걸대류, 첩해몽어, 노박집람 등 역학서류의 연구가 여전히 많이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연구가 많이 진행된 것은 \'21세기의 국어학의 과제\'라는 책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었기 때문이다. 아홉째, 이본 비교 연구가 보인다.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9.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첩해신어 (16) 이다 <첩해신어 4:3> 너기이다 (4:5) 뵈오잇가 (4:6) 도라가이다 (6:5) 중기국어에 나타나던 방점 표기가 17세기에 와서 완전히 사라진 것을 이 시기 표기법의 특징 16세기 후반의 일부 문헌에서부터 방점 표기가 사라진 것을 발견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9.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첩해신어 5.3), 나셔(同 5.11), , 쑥(艾, 박통사언해 上 35), 고(使, 同 下 28), 씀이(同 中 2) 등이 있으며, 이 혼동은 18세기에 이르러 극심해진다. 여기에 각자병서가 일부 부활 되어 사용된 여(挺,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3.9), 빼여(同 열녀도), 리(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