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704건

사이시옷(사잇소리)을 쓰지 않는다. 지금까지 사이시옷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하지만 이 사이시옷의 정확한 통사 의미론적 기능이 불분명하고, 똑같은 음운론적 환경에서도 일정하게 나타나지 않아서, 사이시옷이 나타나는 조건은 아직 분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사이시옷 표기 규정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실제 언어생활에서 실수 없이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언어학적 지식이 요구된다. Ⅱ. 한글 맞춤법의 사이시옷 표기 사잇소리가 발생하여 사이시옷을 적어야 하는 환경에는 여러 가지 경우가 있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1.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표기하는 사이시옷의 표기에 알아보았다. 그리고 정리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의문점과 문제점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론 1. 개념 정의 사잇소리: 두 개의 형태소 또는 단어가 합쳐져서 합성 명사를 이룰 때, 앞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5.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사이시옷에 관련된 표기 Ⅲ-2. 어휘 · 문체의 차이 (1) 사회제도에서 유래되는 차이 (2) 외래어와 관련된 차이 (3) 문체 Ⅲ-3. 언어정책의 차이점 (1) 남한의 언어정책 (2) 북한의 언어정책 Ⅳ. 결론 Ⅳ-1. 남북한 언어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사이시옷 사용하지 않음 원음 표기 이[치/이]와의 합성어 사랑이, 머리이 띄어 쓰기 적음 Ⅷ. 향후 남북한언어의 수용 방안 통일 후 남북한 언어 수용 방안의 원칙에 대해 이성연 교수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 다. 북한에서의 문화어 다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논문 8건

필요하다. 앞서 제시한 약어, 이모티콘, 상징어, 신조어 등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표현들을 제외한 ‘음운의 축약과 교체, 자모를 해체한 표기’ 등과 같이 일상 언어생활에 혼란을 줄 수 있는 표현들은 가급적 사용하지 않도록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발행일 2023.08.06
  • 파일종류 한글(hwp)
  • 발행기관
  • 저자
어미를 활용하는 반면에 영어에서는 어순을 바꾼다. → 국어의 첨가어적 특질 [가꾸기] 로마자 표기법의 문제점을 통한 국어 음운의 특질 · 구미 Gumi 영동 Yeongdong 백암 Baegam 옥천 Okcheon 합덕 Hapdeok 호법 Hobeop 월곶[월곧] Wolgot 벚꽃[벋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발행일 2012.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발행기관
  • 저자
사이시옷 사용 안함. ⑨ 고유어 사용⑩ 붙여 씀(띄어쓰기 ×). ⑵ 남북의 언어 비교 공무원 - 정무원대중가요 - 군중가요 장모 - 가시어머니커튼 - 주름막 삐삐 - 주머니종노크 - 손기척 샤워실 - 물맞이칸로터리 - 도는네거리 산책길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300원
  • 발행일 2012.11.29
  • 파일종류 한글(hwp)
  • 발행기관
  • 저자
언어서비스(영어)가 부족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점개선 항목으로는 시설투자가 계단에 집중되어 있어, 에스컬레이터 시설기준과 접수대, 매표소의 점자표기에도 국내외 모두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3,000원
  • 발행일 2010.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발행기관
  • 저자
언어 정책의 목적은, 한마디로 주체적 민족어를 발전시켜 혁명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북한의 언어관은 위에서 언급한 도구관, 일체관, 형성관 중에 도구관이 강하다고 얘기할 수 있다. Ⅲ. 표준어와 문화어의 특징 가. 발음차이 표기는 같더라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500원
  • 발행일 2015.12.10
  • 파일종류 한글(hwp)
  • 발행기관
  • 저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