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평도에 170여 발의 해안포를 발사하는 도발을 감행했다. 우리 군은 즉각 교전수칙에 따라 대응사격에 나섰지만, 1시간이 넘게 계속된 공격으로 민간인과 작전수행 중이던 해병들이 숨지고, 부상자도 속출했다. 이번 연평도 포격사태는 6.25전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평도에 北포탄 수십발..4명 중경상, 진돗개 발령(종합), 파이낸셜뉴스, 2010.11.23
안보불안 해소할 근본 대책 있나 - 사설, 경향신문, 2010.11.24
연평도 포격, 위키백과, ko.wikipedia.org
李대통령 "서해 5도에 세계최고의 군장비 배치", 연합뉴스, 2010.1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1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우리나라 피해 상황
인명 피해
국군
해병대원 2명 사망, 16명 중경상
민간인
주민 2명 사망, 3명 부상
시설 및 기타 피해
연평 내연발전소, 고압 변전기 파괴
주택 21채 화재
10곳 이상에서 산불 발생
- 표면적 이유
연평도 포격은 22일부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12.02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평도 포격까지 감행했다. 이에 따라 3차 핵 실험이나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 더 강도 높은 도발을 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점으로 미뤄 ‘천안함 사태’ 이후 경색됐던 남북관계 이상 수준으로 악화될 수 있다. 우리는 북한의 연평도 도발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0.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평도 포격 도발
1. 연평도 포격 도발(2010년 11월 23일 화요일)
2. 피해상황
3. 보상대책
4. 연평도 포격의 원인에 대한 여러가지 견해
1) 북한 도발 이유에 대한 여러가지 가능성
2) 국내여론
3) 특이사항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1.0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