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궤 안에는 다수 장인들의 실명이 모두 나타난다. 굳이 장인들의 실명을 낱낱이 기록한 것은 그들에게 업무에 대한 책임감과 함께 자신이 맡은 임무에 대한 자부심을 부여해준 조치로 보인다.
Ⅴ. 맺음말
이상으로『영조정순후 가례도감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1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에서부터 나타나는 항목으로 대홍색 향직 30척과 내공으로 내공으로 대홍수주 1필이 소요되었다. 이것의 정확한 향태는 알 수 없으나 적고리 위에 입는 덧저고리 형태일 것으로 추측한다.
7) 천의
천의는 영조정순후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7.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있어서 의궤를 통하여 조선시대 결혼풍속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으며 각종의 혼수품과 행사에 참여한 사람들의 변화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의궤로 보는 풍습
-혼례 <영조정순황후가례도>
-왕의 특별한 여행 <원행을묘정리의궤>
|
- 페이지 33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21.01.1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후 가례시 고종의 부모인 대원군과 부대부인 민씨는 비부모의 역할을 하였다. 비부의 역할을 한 대원군은 납채, 납징, 책비, 고기시에는 공복을 입었는데 친영시에는 종친과 4품 이상 문무백관, 또한 도제조, 각차비 등과 마찬가지로 조복을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7.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후 영조는 숙종 뒤를 이어 강화부 만녕전과 경희궁 태녕전에 자신의 어진을 봉안하게 하였다. 정조는 창덕궁 후원에 ‘규장각’을 세우고, 선왕의 유품과 함께 자신의 어진을 봉안했다. 이후 규장각은 정조의 친위기구로 성장했다. 현왕 어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24.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