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침이라는 바늘로 이루어졌다. 안쪽 바닥 시반에는 은입사로 시각선을 그렸고, 영침은 북극을 향해 비스듬히 세워져 있다. 시반의 왼편에는 동지부터 하지(겨울→여름), 오른편에는 하지부터 동지(여름→겨울)까지의 24절기가 13줄의 가로선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04.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침( 그림자를 만드는 침)의 방향을 지축과 평행한 정북극 방향을 맞춘다. 영침의 끝은 구의 중심이 된다. 그리고 앙부일구의 평면은 그 지점의 수평면이 된다. 여기에서 해시계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필수적인 것은 정북극의 방향을 정하는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4.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6세기경 중국에서 태양의 운동이 등속이 아니라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세종 때 앙부일구를 만들었던 사람들은 나름의 계산법을 개발하여 해의 각기 다른 속도를 앙부일구에 그려 넣었던 것이다. 그 결과 앙부일구의 하지와 동지 쪽의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6.03.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침(影針 : 그림자로 시간과 절기를 나타내는 바늘)은 북극을 가리키며, 길이는 앙부일구의 반지름과 같다.
정확한 시간과 절기를 가리키기 위해서는 12시를 나타내는 자오선은 나침반의 남북방향과 일치하여야 하며 해시계의 받침대는 항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침)이 꽂혀 있어 햇빛이 바늘에 닿으면 그 그늘이 오목한 부분에 나타나므로 그 위치로써 시각을 헤아렸다. 반구형(半球型)의 대접 모양에 네 발이 달려 있는데, 동지에서 하지에 이르는 24절기를 13선의 계절선(季節線:緯線)으로 나타내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