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영화산업의 역사와 변화
1. 최초의 영화상영부터 무성영화흥행기까지
2. [1919-1935] 한국영화의 초창기
1) 연쇄극의 등장- <의리적 구투>
2) 최초의 한국영화- <월하의 맹세>
3) 나운규와 <아리랑>
3. [1935~1945] 발성영화 등장과 일제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7.0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화의 대중화에 기여, 대중잡지"예원"발간.
** 무성영화의 시작**
9. 춘사 나운규
- 엑스트라 가마꾼 첫 등장-「운영전」(25), 심봉사의 노역도 함. 함경도 출신
- 핵심-리얼리즘을 통한 민족정신 고취
- 「아리랑」(26)주연, 각본, 감독, 한국영화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9.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완료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문화일보 2007.5.11-
4. 친일 영화 제작 시기
일본 1937년 <만주영화법> 제정->1940년 <조선영화령> 공포 -> 1942년 <조선영화주식회사> 군국 어용 영화가 만들어 지고 강제로 상영
|
- 페이지 3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9.2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어 영화의 제작 붐이 일기 시작하여 최인규의 ‘자유만세’ 등이 제작되었으며, 북한에서는 강홍식의 ’우리고향‘이 최초의 영화가 되었다. 이후 한국은 1998년까지 일본영화의 상영을 금지하였다.
하지만 일본영화의 영향은 수없는 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화관 급격한 증가
주요 대도시로의 확산
한국인이 만든 최초의 영화
1919.10.27 연쇄극 “의리적 구투”
■한국 최초의 기록영화
1919.10.27 “경성전시의 경”
■한국 최초의 극영화
1923년 윤백남 감독의 “월하의 맹세”
|
- 페이지 3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5.0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