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의(例義)를 들어 보이시고 이름을 훈민정음이라고 지으셨다. 이 글자는 상형해서 만들되 글자 모양은 중국의 고전(古篆)을 본떴고, 소리의 원리를 바탕으로 하였으므로 음은 칠조에 맞고, 삼재의 뜻과 이기(二氣,陰陽)의 묘가 다 포함되지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9.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컬처톡] \'갈 수 없는 나라\'를 향한 처절한 몸부림, \'곤 투모로우\'. 뉴스핌. (2023.09.20.).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30915000600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안중근 의사와 의로움
(2) 현대 사회에서의 의로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5.0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국어
1. 문자와 문헌
훈민정음
창제시기
창제 : 1443년(세종25) 음력 12월에 예의본 완성
『훈민정음』 해례본
「어제서문
(御製序文)」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 서로 잘 통하지 아니하므로(자주정신) 이런 까닭에 어리석은 백성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1.1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문자와 말소리(음운)
1. 문자
1.1 개관
(1)명칭
① 문자체계의 명칭 : 훈민정음(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 한글
② 책이름:《訓民正音》 훈민정음에 대한 해설서
┌해례본(=한문본): 예의(例義) / 해례(解例) / 정인지의 서
└예의본(=언해
|
- 페이지 62페이지
- 가격 10,000원
- 등록일 2012.10.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본> <예의본>첫머리에 세종대왕의 한글창제의 뜻을 “우리의 음운 체계가 중국과 달라”... 한때 언문이라 하여 서민들이나 아낙들이 배우는 천한 글이 되기도 하였으나, 현제는 세계가 주목하는 언어가 되었습니다. 그 뿐만 아니라 세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