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작 (1914~1918)
-. 독일의 무제한 잠수함전과 미국의 참전 (1917)
-. 월슨의 평화 원칙 ‘14개조’ (1919)
2) 제 2차 세계대전 (1939)
-. 무기대여법과 대서양 현장 (1941)
-. 태평양 전쟁 (1941)
4. 냉전의 시작
1) 철의 장막 (1946)
-. 트루먼 독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9.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책 변화, 한신대학교
김명섭(2004) - 탈냉전기 세계질서와 국가주권,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박명림 외 1명(2009) - 탈냉전기 한국의 동아시아 인식과구상 : 김대중 사례 연구, 한국정치학회
신재민(2009) - 탈냉전기 일본 외교의 국제적 역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냉전시기의 양국
1) 독립전후의 양국
2) 양국 우호의 시대
3) 양국 갈등의 시대
4) 양국 새로의 협력관계
2. 탈냉전 시기의 양국관계
1) 냉전 이후의 중국·인도 그리고 미국의 관계
2) 중국과 인도, 미국의 전략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2.1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냉전이란 긴 구제정치의 흐름은 과거의 사실이 되었다. 냉전질서 하에 고착된 국제질서는 갑자기 녹아내릴 수밖에 없었다.
참고문헌
권세은, 탈냉전 후 러시아의 외교정책과 러·중 관계, 시민정치학회, 2001
이승원, 탈냉전 국제체제의 환경변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외교정책을 수행했다.
1990년 이후, 소련이 붕괴하면서 사회주의권이 붕괴하고 중국 또한 개방, 개혁의 길을 걸으면서 국제정세는 급속도로 변화하여왔고 북한은 체제 붕괴위기에 직면해있다. 냉전기 세계의 한 축을 이루며 함께 해왔던 소련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5.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