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對 中蘇 外交政策” (서울, 남지)
김용호, “현대북한외교론” (서울, 오름)
이종석, “새로 쓴 현대북한의 이해” (서울, 역사비평사) 1.序論
2.북한의 對 중‧소 외교정책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전개
- 소련의 독점적 지배 (1945.8~1950.10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5.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외교: 전략과 목표’. 『中蘇硏究』통권87호. 2000.
이요한. ‘신국제질서하의 중국ASEAN 관계발전 전망’. 『東亞硏究』제43집. 2002.
전병곤. ‘중국의 다자주의 지역전략’. 『신아세아』제10권 제1호. 2003.
한석희. ‘중국의 신지도부 등장과 對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6.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국과 미ㆍ일 관계는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중ㆍ미 관계라 할 수 있다. Ⅰ. 들어가며.
Ⅱ. 동아시아 국제관계와 중국의 외교정책.
Ⅲ. 對 북한 관계와 중국의 외교정책.
Ⅳ. 對 한국 관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08.11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국의 외교정책.
1. 中 ㆍ 美 관계의 변화와 외교정책.
2. 中 ㆍ 日 관계의 변화와 중국의 외교정책.
3. 중 · 러 관계의 변화와 중국의 외교정책.
Ⅲ. 對 북한 관계와 중국의 외교정책.
1. 한국전쟁과 동맹시기
2. 노선차이와 분열의 시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4.1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외교정책과 국제관계, 인간사랑
이은구(2002) 인도-중국과 상호협력 합의,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발행 국제지역정보 제6권 2호(통권 103호)
부시 "인도와 협력강화 희망" 뉴델리=연합뉴스, 2005.5.17
미국의 새 전략동반자 인도 : 세계닷컴 2005(해외논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