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제를 설명하는데 상대 시제의 쓰임이 유용하다. ㅁ)의 경우도 ‘-하니’는 절대 시제로는 과거이지만 문장 전체를 볼 때 현재라고 설명한다. 이렇듯 절대와 상대 시제를 올바르게 이해한다면 시제를 잘 설명할 수 있다.
3. 결론
한국어가 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7.08.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까 싶다.
참고문헌
시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상 국어국문학자료사전, 이응백 외 2인, 1998, 한국사전연구사
서법 국어국문학자료사전, 이응백 외 2인, 1998, 한국사전연구사 1. 서론
2. 본론
2.1. 시제
2.2. 상
2.3. 서법
3. 결론
4. 참고문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8.05.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 한다.
(2) 상
완료상은 ‘-아(어) 있다-’라는 문법적인 형태로 동작의 완료를 표현하고, 진행상은 ‘-고 있-’이라는 문법적인 형태로 동작의 진행을 표현한다. 진행상은 현재 진행상, 과거 진행상, 미래 진행상으로 나뉘며 이는 시제를 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8.09.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4. 참고자료 및 출처
‘한국어 문법 총론 1(구본관 외 지음, 집문당 펴냄)’ 일부 참조
위키백과 ‘서법’ 항목 일부 참조 1. 서론
2. 본론
2-1. 시제
2-2. 상
2-3. 서법
3. 결론
4. 참고문헌 및 출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8.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 김진호/ 박이정 ① 조사: -이/가, -은/는
② 연결어미: -아서/어서/여서, -고
③ 종결어미: -고 있다. -아/어/여 있다
④ 시제: -겠, -(으)ㄹ 것이다
* 문법 항목별로 의미, 형태 통사적 정보, 담화 화용적 기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5.0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