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비어천가> 제43장 분석
1. 언해문과 한자 원문
玄武門 두 도티 사래 마니 希世之事 그려 뵈시니다
玄武兩 一箭俱中 希世之事 寫以示衆 1. 언해문과 한자 원문
2. 관련 고사
3. 국어학적 분석
4. 현대어 풀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2.09.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자해에서 이것을 설명하여 “連書唇音之下 則爲唇輕音者 以輕音唇乍合而喉聲多也”라 하였다. 이 방법으로 만들어진 것에 ‘ ’등이 있었는데 ‘’만이 순수한 국어 단어의 표기에 사용되었고, 그 밖의 것은 주로 중국음 표기(洪武正韻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1955, 정음사
이승희, “중세국어 감동법 연구”, 1996, 국어연구 139
고영근,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 2004, 태학사
조규태, “용비어천가”, 2010, 한국문화사 1. 국문 가사와 한문 가사
2. 관련 사적
3. 국어학적 분석
4. 현대어 풀이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두려워하여 그 형에게 태자 자리를 양보하력 했다. 그러나 예종은 그 말을 듣지 않고 태자가 반란군을 토벌한 공을 생각하여 도리어 그에게 양위하였다.
태종이 정도전의 난리를 평정한 뒤 모든 사람들이 그를 세자로 삼을 것을 태조에게 간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작하는 어미가 연결될 때는 소리 나는 대로 이어 적는 음소적 표기법이 사용되었다.
<참고 문헌>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2011, 집문당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문법”, 2010, 두산동아
나찬연,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이론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