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셋째, ‘’, ‘안’에서는 관형격 조사 ‘-ㅿ’이 쓰였는데, ‘-ㅿ’은 앞 체언이 유성음으로 끝나고, 뒤 체언이 유성음으로 시작할 때 실현된다. 넷째, ‘움흘’의 ‘움ㅎ’처럼 ‘ㅎ’으로 끝나는 체언이 있었다. 다섯째, ‘--’과 같이 객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언해문과 한자 원문
2. 관련 고사
3. 국어학적 분석
4. 현대어 풀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2.09.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1955, 정음사
이승희, “중세국어 감동법 연구”, 1996, 국어연구 139
고영근,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 2004, 태학사
조규태, “용비어천가”, 2010, 한국문화사 1. 국문 가사와 한문 가사
2. 관련 사적
3. 국어학적 분석
4. 현대어 풀이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국문 가사와 한문 가사
2. 관련 사적
3. 국어학적 분석
4. 현대어 풀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작하는 어미가 연결될 때는 소리 나는 대로 이어 적는 음소적 표기법이 사용되었다.
<참고 문헌>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2011, 집문당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문법”, 2010, 두산동아
나찬연,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이론편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