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간생활
우포늪을 독특한 자연환경으로 설정한 이유
울릉도
울릉도의 인간생활
울릉도의 자연환경
울릉도 민가의 변용
화통집과 투막집
우데기
지붕재와 지붕형태
결론
제주도
제주도의 인간생활
참고문헌 목록 포함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3.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우데기를 설치하는데, 이 우데기는 울릉도의 민가에서 방설·방우·방풍 등을 위해 본채의 벽 바깥쪽에 기둥을 세우고 새나 옥수숫대 등을 엮어 친 외벽을 말한다. 우데기는 보통 집과 130-150cm정도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는데, 이 본채와 우데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우데기
<우데기 전경>
<우데기의 내부 구조>
둥근 통나무를 그대로 우물틀처럼 쌓아 올려서 벽을 만든 집을 투방집이라고 하는데, 산간 지방에서 유치한 도구로 목재를 사용해서 집을 쉽게 지을 수 있기 때문에 생긴 건축법이라고 생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3.10.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우데기가 특징이다. 귀틀집은 통나무를 포개어 쌓아 만든 집이며, 우데기는 지붕처마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억새풀이나 싸리가지를 이용해 만든 또 하나의 벽을 말한다.
이는 많이 쌓인 눈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도록 통나무를 이용해 귀틀집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우데기가 특징이다. 귀틀집은 통나무를 포개어 쌓아 만든 집이며, 우데기는 지붕처마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억새풀이나 싸리가지를 이용해 만든 또 하나의 벽을 말한다.
이는 많이 쌓인 눈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도록 통나무를 이용해 귀틀집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0.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