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2.2. 광문자전
4.2.3. 마장전
4.2.4. 예덕선생전
4.2.5. 민옹전
4.2.6. 김신선전
4.2.7. 우상전
4.2.8. 호질
4.2.9. 열녀함양박씨전
4.2.10. 허생전
5. 북한의 연암소설 연구-「양반전」과 「허생전」
6.나오며
※참고문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7.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옹(민유신)
○
양반전
양반
○
김신선전
김신선(김홍기)
○
우상전
우상(이언진)
○
호질
북곽선생, 동리자
○
허생전
허생
○
열녀함양박씨전
박씨
○
계
10
8
2
<표 3> 주인공의 인물형 분석
연암은 하류계층의 인물을 이상적인 인물로 제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홍기를 찾는 데 집중된 單一構成도 이 작품의 장점이며 작품 안에 작중화자인 \'나\'를 대담하게 투입하면서도 끝내 김홍기를 미지의 인물로 남겨둔 것도 제목에 걸맞게 김홍기를 신비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4. 기타소설
(1) 우상전
줄거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0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우상전> 우상은 영조왕 39년 한어 통관의 자격으로 일본에 파견되었던 통신사의 일행으로서 실존했던 인물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과정에서 인생의 진리를 탐구하여 작품 내에서 소화하고 있다.
<허생전> 허생은 상매인(商賣人)이면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우상전을 지었다.
연암 박지원이 평생동안 저술한 글은 연암집 17권 6책 속에 모두 수록되어 있다.
이 연암집 17권 중 4권만 시이고, 1에서 7권까지는 각종 산문들이다.
다만 1권 말미에 전 1편이 있는데 이것이 열녀 함양박씨전으로 여성이 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