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성모멘트
(4) 속이 꽉 찬 원통의 관성모멘트
낙하시간 (s)
1회
2회
3회
평균
7초 84
7초 97
7초 81
7초 87
관성모멘트
( )
실험치
이론치
오차율(%)
0.0254
0.0172
47.7%
표 4 속이 꽉 찬 원통의 관성모멘트
(5) 원기둥의 관성모멘트
낙하시간 (s)
1회
2회
3회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21.0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 목적
질량 관성 모멘트 측정법 이해
이론값 / 실험값의 비교 및 고찰
실험 방법
원판의 질량관성모멘트를 측정한다.
원판에 육면체를 올리고 진동수를 측정한다.
원판에 원기둥을 올리고 진동수를 측정한다.
이론식으로 각 물체의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8.04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기둥 모양의 물체를 회전 시킨다면 어떻게 될까라는 실험이다. 아마도 이 실험에서는 아무래도 공기저항이 있는 물체가 있으니 어느 정도는 회전 할 때 공기저항으로 에너지가 손실 될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관성모멘트라는 것은 실제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4.03.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기둥모양 금속의 을 0으로 두었다는 점 역시 오차에 영향을 줬으리라 판단된다. 실험 장치에서 추걸이에 추를 올려 놓았을 때 질량이 m인 물체에 작용하는 힘에 의한 운동방정식을 통해 관성모멘트를 구하는 식을 이해하고 각각의 회전축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2.07.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성모멘트를 갖게 된다. 또한 질량을 가진 막대 역시 1차원적인 선이 아니라 부피를 갖는 원기둥 형태이다. 따라서 미소 질량 요소()는 (선질량 밀도)(선 길이의 극한)가 아닌 (막대의 밀도)×(막대 부피의 극한)으로 구해야 한다.
[4] 결론
결과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0.07.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