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 비교연구」, 선문대학교, 2017.
장정룡,『한·중 세시풍속 및 가요의 비교』中央大學校, 1998.
『한국세시풍속사전』(여름편), 국립민속박물관, 2006.
안광선,『강릉단오제가유네스코로간까닭』, 민속원, 2006.
임동권, 『민속문화의 전승』,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3.03.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등재에 관한 견해에 대해 서술해 보았다. 한국과 중국의 단오절은 역사 속에서 많은 변화를 겪었다. 현대 한국의단오절은 주로 강원도 지역에 축제형식으로 행해지고 있는데 중국은 고대에서 4대 명절로 지냈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23.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화유산으로 등재하려는 중국』,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021607651
8) 중국망신문중심, 『성탄절, 제2의 춘절되다』,
http://china.naeil.com/news/news_view.asp?nnum=14305
9) 왕징닷컴, 『“추석 등 중국의 전통명절 법정 휴일화 해야”』,
h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1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스코에 등재되었을 때 중국의 반응은 정말 격하다. ‘문화 강탈’이라는 워딩을 사용하면서까지 우리나라를 비난하는 태도를 보이는데, 중국의 이런 태도를 보면 문화가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강릉 단오제가 중국의 문화가 되었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3.09.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국 사례], 한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허 권(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의 문화콘텐츠화 방안], 한양대 석사학위논문.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2010), [세계유산-새천년을 향한 도전]
김미연 외(2012), [양동마을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이후 변화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9.09.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