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육부 부위마다 혈관이 있듯이 생체에너지인 기도 오장육부마다 그것을 공급하고 순환시키는 순환로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경락이다.
혈관은 동맥, 정맥이 있지만 생체에너지는 하나의 경락으로 기의 공급과 탁기의 배출 역할을 동시에 한다.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6.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육부
위의 위치
위는 소화관중에서 가장 크고 넓은 부분으며 횡격막 즉, 명치의 바로 밑 왼쪽으로 갈빗대가 끝나는 부분에 비스듬히 놓여 있고 간의 왼쪽 부분이 위를 덮고 있다. 쉽게 말해서 위는 배꼽 위의 상복부에 왼쪽으로 치우쳐 있다.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육부 중에서 가장 으뜸되는 것으로 사람이 사는 사회에서 시장 같은 것이라 하였으며 수곡(음식물)을 받아 들여 여기서 정기를 얻어 온 몸에 공급한다고 믿어 왔다. 그렇기 때문에 위는 오장육부에 영양을 공급하는 극히 중요한 장기라고 설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1.0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오류를 논박하지 않을 수 없으니 감히 전 사람의 잘못을 논의하여 당세에 죄를 취하려 함이 아니다.
讀者幸相審且相諒云。
독자들은 다행히 서로 살피고 서로 헤아려주길 바란다. 十二經經絡貫通氣血 12경 경락 관통기혈
육부삼초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육부(五臟六腑)의 육부의 하나이다. 명문(命門)과 더불어 매우 중요한 것인데, 내용을 이해하기가 어렵다. 이 삼초와 명문은 옛날부터 ‘유명이무형(有名而無形)하고 무형이유용(無形而有用)하다’고 표현하였는데, 다시 말해서 해부학상 실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3.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