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소가 아니다. [t]와 []음은 자유변이에 해당한다. 폐쇄음은 어말에서 파열될 수도 있고 파열되지 않을 수도 있다. rope를 발음할 때, 입술을 다물고 있거나 벌리고 있거나 그 의미는 변하지 않는다. 파열되지 않는 폐쇄음의 음성학적 표기는 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성학적 관점이다. 곧 음성의 순수히 물질적인 성격만을 고려한 것이지, 그 말의 뜻을 나타내어 주는 데 관여하고 관여하지 않는 점은 전혀 고려되지 않은 것이다. 그런데 음소의 본질적인 방면에서 보면 말의 뜻을 분화하는 데 관여하느냐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3.03.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성학
1.음성학의 하위분야
2.발음기관
3.자음
4.모음
5.운율
제4장 언어의 소리 체계
1. 음성과 음소(음운)
2. 음소(음운) 배열과 음절 구조
3. 음운 규칙
4. 변별적 자질
5. 외래어의 표기
참고자료
제 5장 형태론
1. 형태소
2. 파생과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국어음운론(國語音韻論, Korean Phonology)
- 음운론 : 특정한 언어의 음 체계를 연구하는 학문. 언어의 기능성 연구.
인간의 말소리(의사전달에 요구되는 음성기관을 통해 나온 소리)에 국한.
(The system of sounds in a language)
- 음성학 : 음의 실체를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8.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어들과 구별되게 해 준다. 음소들을 합성, 분리, 변별, 분절할 수 있다면 음소 인식능력이 있는 것이다. 음소 인식력은 읽기 및 읽기장애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어 내에서 개별 음소들과 그 순서를 정의하고 전체에서 부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1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