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가 결체해서이므로 매번 자완으로 자삼을 대용하였다.
雖氣味之寒溫不同,疏利之性則一。
비록 자삼과 자완의 기미가 한기와 온기가 같지 않으니 성글고 이롭게 하는 약성은 하나이다. 파극천 원지 음양곽 선모 현삼 지유 단삼 자삼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巴豆。)
상사자는 모란, 패모, 파두와 상오한다.
藁本
(惡藺茹。畏靑子。)
고본은 인여와 상오한다. 고본은 청상자와 상외한다.
白芷
(當歸爲之使。惡 旋覆花。製 雄黃、硫黃。)
백지는 당귀와 상사가 된다. 백지는 선복화와 상오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대 문장에서 본초책은 창출, 백출을 구분하지 않다가 도은군(도홍경)이 양쪽 종류로 말함이 있어서 비로소 각자 베풀어 사용되었다. 丹參
단삼
元參
원삼
白朮
백출
蒼朮
창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양곽)
Papaverales 양귀비
Papaver somniferum L. 양귀비
Ginkgoales 은행나무
Ginkgo biloba L. 은행나무
Poaceae 벼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var. Sinensis. 참억새
Plantaginaceae 질경이
Plantago asiatica L. 질경이(차전자)
Polygonaceae 마디풀
Persicaria hydropiper (L.) Spach var. Hydro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4.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삼(丹參), 지각(枳殼), 현삼(玄參), 목호접(木蝴蝶), 석창포(石菖蒲), 원지(遠志), 시호(柴胡), 울금(鬱金), 천축황(天竺黃).
(4) 加 : 去 감초(甘草)., 加 사간(射干), 천궁(川芎), 단삼(丹參), 목호접(木蝴蝶), 석창포(石菖蒲), 원지(遠志), 울금(鬱金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4.1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