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어 음운의 유형, 국어 음운의 의미타락, 국어 음운과 한어음운학, 국어 음운과 통시음운론, 국어 음운과 억양음운론, 국어 음운과 공시음운론, 국어 음운과 아동음운습득, 국어 음운과 음운간섭 분석
Ⅰ. 국어 음운의 유형
1. 동화조건
1) 자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지 핵심 설명원리로서 확실한 자리 매김을 하고 있다. 요컨대 자연성원리는 일종의 사통팔달四通八達식의 강력한 원리에 해당하지만, 아직 체계적인 이론 틀 안에 정리되지 못한 미완의 원리로 남아 있는 셈이다.
Ⅸ. 통시음운론
통시음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운론』-전주지역어를 중심으로-, 형설출판사.
최학근(1982),『한국방언학』, 태학사.
허 웅(1965),『국어음운학』, 정음사.
Archangeli & Pulleybank(1986), \"Externality and Japanese Accent\", paper presented at the 1985 Conference on Japanese Language and Linguistics, UCLA.
Bhat,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7.0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화를 일으키지 않는 예(어디, 잔디, 느티나무)와 사실상 구별되는 셈이다.
첫째는 통시적인 변화가 공시적인 제약으로 굳어진 경우이다. 중화, 비음화, 유음화, 자음군 간소화 등이 해당되는데 이런 현상은 필수적인 것이며 비음운론적인 제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5.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화의 두 음운론적인 조건이 비로소 완비된다. 그러므로 중세국어에서 나타나지 않던 전설모음화가 근대국어 이후에 이르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장영길, 국어 /ㅣ/의 음성자질에 대한 통시적 연구, 동악어문학회, 1999.
전설모음화 현상은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