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 문제로는 양 기관간의 상대적 우위성을 판단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의결기관도 이에 못지않은 권한을 행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이러한 판단의 근거는 주요 권한의 실질적 행사의 한계에 기인한다. 즉, 법령상 의결권의 행사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09.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회는 지방자치법 제 35조 제1항에 열거된 사항 및 제2항에 의거 조례로서 규정하는 사항, 그리고 지방자치법 개별 규정 또는 다른 법령에 의거 지방의회의 의결을 거치도록 규정된 사항에 한하여 의결권을 갖는다.
지방의회의 권한에 속하지
|
- 페이지 3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8.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이 제기된다. 예컨대 도시기본계획의 의안, 예산상의 조치를 수반하는 의안 등은 그발의 기준을 일반의안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이론도 성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의안의 중요도를 여하히 판단하느냐의 문제가 남는다.
Ⅵ. 會議運營
1.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3.10.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해 선출된 의회에서 이사회위원과 이사회의장을 선출하고, 이사회의장은 시장이 되며 시장은 자치단체의 모든 행정을 책임진다. 의회는 자치단체의 모든 사무에 의결권을 가지며, 분과 위원회를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즉 의회와 집행기관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회의원 개개인에게 전문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Ⅵ. 結 論
지방의회는 지역주민의 대표기관으로서 입법기능, 의결기능, 통제기능, 대의기능 등을 수행하며 법적인 기능으로서는 의결권, 조례제정권, 행정사무 및 조사권, 청원수리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