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2), 한국의 사상가 10인-퇴계이황, 예문서원 Ⅰ. 서론
Ⅱ. 퇴계 이황의 철학 사상
Ⅲ. 퇴계 이황의 사단칠정 및 이기호발설
Ⅳ. 퇴계 이황의 도산십이곡의 작품 분석
Ⅴ. 퇴계 이황의 제자들
Ⅵ. 결론
참고문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10.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기호발설에 대해 기대승과 그후의 이이(李珥 : 1536~84)는 사단과 칠정은 모두 기질지성 속에 갖추어 있는 이가 기를 타고 발한다는 점에서 그 유래하는 바가 같으며, 다만 발해서 순선한 것만을 가리켜 사단이라고 한다고 했다. 그들은 이황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08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기호발설(理氣互發設)
- 퇴계의 사상적 입장 - 정자. 주자의 정주학(程主學)계통, 이기이원론을 바탕.
-『성학십도』- 그의 학문의 결정체, 서문“군주의 마음은 온갖 정무가 비롯되는 곳이며, 온갖 책임이 모이는 곳이며, 온갖 욕구가 서로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12.0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기이원론\'과 이는 귀하고 기는 천하다 는 \'이귀기천(理貴氣賤)\' 사상에 입각한 이기호발설 등을 주장하는 등 을 \'이기일원\' 을 주장한 율곡 이이 에 비해 도덕적·이상주의적인 성격이 강했다는 점을 느낄 수 있었다.
Ⅳ. 참고자료
『한국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3.1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기이원론 [理氣二元論]을 발전 시켜 이기호발설 [理氣互發說] 등 주리적 사상을 형성함으로써 조선 후기 영남학파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 하였다. 인간의 순수이성은 절대선이고 여기에 따른 것을 최고의 덕으로 보았다. 은퇴 이후 스스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0.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