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李箱)이라는 필명의 유래
최상 최선의 목표를 의미하는 理想에서 유래했다는 설.
김해경이 총독부 기수로 의주에 전매청 공사를 갔을 때 한 인부가 리상[이씨(李氏)]이라고 불러서 1931년 7월에 《조선과 건축》이란 잡지에 발표한 〈건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2.1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작품과 기사를 스크랩해놓은 교내의 작은 전시관으로, 이곳에서도 이상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상 시비-오감도> <상설전시관>
- 이상 생가
서울시 종로구 통인동 154번지.
3호선 경복궁역 2번 출구에서 자하문길 쪽으로 나와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9.03.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상론」, 『한국근·현대 작가·작품론』,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7.
이경훈, 「종생기, 철천의 수사학」,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작가 연구』,1999. Ⅰ.서언
1. 연구사 및 문제 제기
2. 연구 목적 및 연구 방법
Ⅱ. 이상의 출생과 삶
1.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6.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상적 자아(본질적 자아)사이의 갈등, 즉 자의식을 드러낸 대표적 작품이다. 거울 모티프가 중심 구조를 이루고 있는 대표적 작품으로는 이 시 외에도 ‘오감도 제15호’와 ‘명경’등이 있다.
‘거울 밖의 나’와 ‘거울 속의 나’는 거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9.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출판부, 2000
이승훈, 시-이상문학전집1, 문학사상사, 1989
이승훈, 이상시연구, 고려원, 1987
홍영철, 이상의 『오감도』연구,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 1998 1. 서론
2. 본론
2.1. 이상 생애
2.2. 이상시의 특질
2.3. 오감도 작품 해석
3. 결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