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4건

http://encykorea.aks.ac.kr(검색일: 2014. 09. 26.) 우탁 이조년 이색 원천석 변안열 정몽주 정도전 이방원 성수침 송순 이황 김인후 김응정 정철 김장생 임제 계랑 윤선도 송시열 한우 황진이 남구만 위백규 김천택 이세보 안민영 조운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5.1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이조년 -김종서 -성종 -정철 -임제 *시조 13수 (2) -시조란? -박태보 -이정보 -황진이 -오경화 -무명씨 -장진주사(정철) -느낀점 -참고문헌 사미인곡 1.작가소개: 송강(松江)정철(1536~1593) 조선시대 중종 때에 태어나서 주로 선조 때에 활동한 학자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9.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이조년상 (이인문의 \'미인도\') 고려말기 문신복의 일종이다. 홍색의 포는 직령이고, 소매가 좁은 편이다 고려 초기에는 신라 의복제도를 답습하였으나 광종 때 송나라 제도의 영향을 받아 백관의 공복을 정하여 의복에 따라 계급차이가 나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신농씨 꿈에 보아 불끌 약 물어보니 충절과 강개로 난 불이니 끌 약 없다 하더라. 3-8-2.작가의 생애 본관 반남, 자 사원(士元), 호 정재(定齋), 시호 문열(文烈), 중추부판사 세당(世堂)의 아들이다. 1675년(숙종 1) 사마시를 거쳐, 1677년 알성문과에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19.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이조년(1269~1343)의 아들이포 영정에서는 직령을 착용한 것으로 보아 당시 이미 입혀지고 있었다. 머리에 발립을 쓰고 홍색 직령에 사대(絲帶)를 띠고 화를 신었다. 직령은 조선에 전해져 말기까지 계속 착용되었다. - 심의 : 심의는 주자학과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