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우탁 이조년 이색 원천석 변안열
정몽주 정도전 이방원 성수침 송순
이황 김인후 김응정 정철 김장생
임제 계랑 윤선도 송시열 한우
황진이 남구만 위백규 김천택 이세보
안민영 조운
정몽주 정도전 이방원 성수침 송순
이황 김인후 김응정 정철 김장생
임제 계랑 윤선도 송시열 한우
황진이 남구만 위백규 김천택 이세보
안민영 조운
본문내용
시조집과 458수의 시조를 썼다. 시조의 주제는 부정부패 비난, 애정, 도덕 등 매우 다양하며 조선시대에서 가장 많은 시조를 쓴 인물로도 볼 수 있다.
26. 안민영 (安玟英, 1863~1907)
안민영은 조선시대 서얼 출신 가객이다. 그에 관한 기록은 거의 전해지지 않고 있지만 스스로 화초를 즐기고 즉흥적인 서경을 노래한 시조작가이다. 1876년 스승 박효관과 함께 조선 역대의 가곡을 수집 정리한 《가곡원류》를 편찬하여 근세 시조문학적인 가치를 계승하는데 공헌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대표적 저서로는 자작시조 <영매가> 외 26수가 담긴 《가곡원류》와 《주옹만필》, 《금옥총부》 등이 있다.
27. 조 운 (曺雲, 1900~1948 추정)
조운은 전라남도 영광 출신의 시조 시인이었다. 그는 1920년대 중반부터 국민문학파를 중심으로 일어난 시조부흥운동에 참여하였던 시조작가로, 최남선 이후 이병기와 함께 시조부흥운동의 후반기에 활약하였다. 8.15 광복 후 조선문학가동맹 시분과에 소속되어 활동하다가 6.25 전쟁을 전후해서 월북하였다. 그는 시조 특유의 운율을 잘 살리면서 우리 민족의 서정과 정감이 배어 있는 작품들을 발표하여 현대시조의 교과서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의 작품집으로는 《조운시조집》이 있으며, 대표 시조 작품으로는 <구룡폭포>, <석류>, <파초> 등이 있다.
<참고문헌>
전관수, 「한시작가·작품 사전-상」, 국학자료원, 2007.
전관수, 「한시작가·작품 사전-하」, 국학자료원, 200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검색일: 2014. 09. 26.)
26. 안민영 (安玟英, 1863~1907)
안민영은 조선시대 서얼 출신 가객이다. 그에 관한 기록은 거의 전해지지 않고 있지만 스스로 화초를 즐기고 즉흥적인 서경을 노래한 시조작가이다. 1876년 스승 박효관과 함께 조선 역대의 가곡을 수집 정리한 《가곡원류》를 편찬하여 근세 시조문학적인 가치를 계승하는데 공헌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대표적 저서로는 자작시조 <영매가> 외 26수가 담긴 《가곡원류》와 《주옹만필》, 《금옥총부》 등이 있다.
27. 조 운 (曺雲, 1900~1948 추정)
조운은 전라남도 영광 출신의 시조 시인이었다. 그는 1920년대 중반부터 국민문학파를 중심으로 일어난 시조부흥운동에 참여하였던 시조작가로, 최남선 이후 이병기와 함께 시조부흥운동의 후반기에 활약하였다. 8.15 광복 후 조선문학가동맹 시분과에 소속되어 활동하다가 6.25 전쟁을 전후해서 월북하였다. 그는 시조 특유의 운율을 잘 살리면서 우리 민족의 서정과 정감이 배어 있는 작품들을 발표하여 현대시조의 교과서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의 작품집으로는 《조운시조집》이 있으며, 대표 시조 작품으로는 <구룡폭포>, <석류>, <파초> 등이 있다.
<참고문헌>
전관수, 「한시작가·작품 사전-상」, 국학자료원, 2007.
전관수, 「한시작가·작품 사전-하」, 국학자료원, 200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검색일: 2014. 09. 26.)
추천자료
박인로(朴仁老) 고찰 레포트 (생애, 작품론, 문학사적 위치...)
시조가사갑민가연구
시조가사론 - 악장의 전반적 특성
박인로의 노계가사 (형식, 내용, 사상, 작품, 의의와 한계)
최남선-海에게서 少年에게(해에게서 소년에게) 작품 분석과 수업 지도 방법
조선시대 가단(歌檀)연구, 대표작품 분석
시조와 가사 인물 (송순,정철 윤선도에 관하여)
[방송대 국어국문학과4]황진이의 삶으로 보는 북한소설의 로맨스와 묘사방법 및 황진이의 작...
[통일신라 향가]향가의 개념, 작품, 형식, 의의 고찰과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처용가, 통일신...
18세기 여항 가창자의 출현과 작품 세계 (리포트)
경기체가와 한림별곡 - 최초의 경기체가 작품으로서 한림별곡의 이해 -
황진이 (黃眞伊) - 황진이의 생애, 황진이의 이야기들, 황진이의 작품들
고산 윤선도(孤山 尹善道)의 생애, 그의 사상과 자연관 및 작품세계를 살펴보자.
거타지 설화 [거타지 설화 고전 문학 작품, 거타지 설화 원텍스트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