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00), 목표 섭취량(2,000)
(2) 변경된 이유
임신기와 수유기에 나트륨과 염소의 요구량이 달라진다는 연구결과가 없어서 임신부와 수유부의 경우도 성인의 충분섭취량과 동일한 양으로 설정하였다.
12) 마그네슘
(1) 임신부와 수유부에 대해 2010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7.04.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신부가 B형 간염이나 B형 간염 보균자일 경우 태아에게도 옮겨질 수 있으니, 혈액검사로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의사와 상담하도록 한다. 태어 난지 48시간 안에 예방접종을 하면 아기는 감염되지 않는다. B형 감염은 보통 혈액으로 감염이 되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6.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으로 임신부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아연의 섭취 또한 권장량보다 낮게 섭취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아연을 권장량의 75%미만으로 섭취한 임신부는 60. 4%였고, 125%이상을 섭취한 임신부는 7. 7%에 불과하였다. 아연의 급원 식품을 식품군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17.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증가시켜 태아에게 필요한 산소공급을 저해한다. 뿐만 아니라 니코틴과 담배의 다른 독소는 태아의 호흡속도를 느리게 하고 심장박동을 증가시킨다. 또한 유산의 가능성과 유아기 사망률을 높인다.
(6) 임신부의 정서적 상태
임신부의 심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6.02.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작용을 도와주고 태아, 자궁근육에 도움이 된다.
(7) 철 평균 필요량 증가
비임신 여성에 비해 1일 10mg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한국영양학회 권고안에 따르면 가임기 여성에서 1일 14mg의 철 섭취를, 임신부 에서는 1일 24mg의 철 섭취를 권장하고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7.03.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