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22건

었다. (십장생 굴뚝의 오른쪽 벽면에 박쥐 문양이 있다. \'왜 하필 박쥐냐\'고 한다면 어릴 적 이솝우화의 과도한 영향을 탓할 수밖에. 박쥐는 동양에서 복(福)의 상징이다.) 자경전이 대왕대비를 위한 공간이었던 만큼 \'액운을 물리치고 대왕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굴뚝과 같은 종류의 무늬를 갖고 있으나 아미산 굴뚝이 6면체의 독립굴뚝임에 비해 이 굴뚝은 원장에 딸린 장방형 굴뚝인 점이 상이하다. → 아미산 굴뚝 경복궁 자경전 꽃담장 십장생 굴뚝과 함께 자경전에서 꼭 챙겨 보아야 할 것은 꽃담장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자경전 굴뚝과 꽃담의 재료와 문양의 의미, 조성 방식을 기술하시오. 자경전 뒤뜰에는 보물 810호로 지정된 십장생 굴뚝이 있는데 이것은 뒷담에 붙여서 만든 굴뚝으로 너비 381cm, 높이 235cm이며 두께는 65cm이다. 이 굴뚝에는 십장생 무늬가 한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7.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자경전 자경전은 대비의 처소다. 한눈에 보아도 매우 크고 화려함을 알 수 있으며, 굴뚝 하나만을 단순비교해 보아도 왕비의 처소인 교태전보다 더욱 큰 규모로 위엄 있어 보인다. 궁궐 뒷방 노인네라고까지 불려 졌던 대비의 처소는 왕비의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0.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자경전의 꽃담과 십장생 굴뚝 등은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없을 만큼 훌륭했다. 내가 경복궁을 돌아보면서 인상 깊었던 것이 세 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불에 대한 두려움이다. 목조건축물이어서였을까, 궁궐 곳곳에 물과 불을 다스리는 것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6.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