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4건

훈몽자회(訓蒙字會) 범례 : 1527년(중종22년) 최세진이 만든 한자 학습용 교과서. - 책 첫머리에 있는 범례(凡例) 중에 ‘언문 자모(諺文字母)’라 하여 다음과 같이 적음. (3)삼운성휘(三韻聲彙) 범례 : 1751년(영조27년) 홍계희가 저술한 책.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6.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훈몽자회인(訓蒙字會引), 훈몽자회범례(訓蒙字會凡例), 언문자모(諺文字母), 훈몽자회목차(訓蒙字會目次), 본문(本文)- 상,중,하권 1.훈몽자회 2.훈몽자회의 편찬 목적 3.구 성 4.훈몽자회 범례 5.언문자모의 내용 (내용에 관련된 사진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04.2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訓蒙字會 의 내용 장주현(1988), 「훈몽자회의 어학적 연구-언문자모를 중심으로」, 청주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을 요약하였음 최세진은 한자를 전실지자, 반실반허자, 허자로 나누고 있는데 중국에서 전실지자(全實之字)는 以凡字之 有事理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6.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훈몽자회(訓蒙字會)> 첫머리에 있는 범례 중 ‘언문 자모(言文字母)’의 수는 (1)에서 처럼 글자 수를 모두 27자로 보고 있다. 여기서 여린 히 Ⅰ. 서론 Ⅱ. 자모의 수와 순서 및 명칭 1. 자모의수 2. 자모의 순서 3. 자모의 명칭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3,800원
  • 등록일 2009.09.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자모의 명칭이 처음으로 보이는 문헌은 최세진이 쓴 \'훈몽자회(訓蒙字會)\'에서 이다. 이 책의 \'범례\'에 \'언문자모(言文字母)\'라 하여 글자를 배열하고 그 명칭을 붙여 놓았다. 이러한 배열과 명칭이 지속되었고 한자음으로 글자의 음가를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700원
  • 등록일 2007.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