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잡가
1. 잡가의 종류
1) 경기잡가
2) 12잡가(긴잡가)
3) 휘몰이 잡가
4) 입창(立昌) = 선소리
2. 서도잡가
3. 남도잡가
Ⅴ. 민요
1. 경기민요
2. 남도민요
3. 서도민요
Ⅵ. 시조
1. 사대부 시조의 재정비
1) 고응척(1531-1605)
2) 장경세(1547-1615)
국악 잡가, 판소리 민요, 국악(한국전통음악)의 두 갈래, 판소리(동편제,서편제,중고제,강산제), 잡가(잡가의 종류,서도잡가,남도,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02.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잡가라 하고, 이는 비전문적인 성격의 민요와 구별된다. 때문에 잡가는 교육을 통한 전승의 과정이 필요하다.
- 19세기 이전에는 판소리를 잡가라고 지칭한 기록도 보이고, 춘면곡, 황계사와 같은 가사를 잡가라 부른 기록도 있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7.07.2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학의 변화
2. 농업의 변화양상
3. 상업의 발달
♤ 시정문화(문학)의 발달 ♤
1. 서민시가의 융성
① 사설시조
② 서민가사
③ 잡가
2. 야담
3. 판소리 문학
① 토끼전
② 춘향전
③ 흥부전
♤ 요약 및 맺음말 ♤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6.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소리 및 잡가의 형성
조선 후기 서민음악의 최고봉은 판소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판소리의 발생은 숙종 시대로 보는 설과 다소 막연하게 영조 이전으로 보는 설이 있다. 그러나 문헌상으로 가장 오랜 기록은 유진한의 『만화집』(1754)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3.0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잡가) / 소리 : 유지숙
2) 육자배기(남도잡가) / 소리 : 염경애
3) 경기민요(금강산 타령 - 노랫가락 - 창부타령) / 소리 : 이춘희
(3) 舞
1) 살풀이 / 춤 : 이지영
2) 봉산탈춤(서도 대풍류) / 춤 : 봉산탈춤보존회
4. 공연을 마치고
5.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