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점액세포
점액 외에 리소좀(lysozyme)을 분비하여 박테리아를 녹인다.
(2) 벽세포가 존재
(3) 장내분비세포(G cell; gastrin), somatostatin(D cell)가 많다.
* 음식물(주로 단백) → 날문부의 gastrin 분비 → 위기저샘의 ECL세포 (histamine)와 벽세포를 자극 → HCl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세포들이다.
4. 체강의 해부학적 위치와 명칭
- 체강은 훙막강, 복막강, 심막강을 의미하는데, 흉막은 폐를 둘러싸고, 복막은 창자를 덮고 있으며, 심낭은 심장을 피복한다.
5. 중피와 중피 세포
① 장막의 내벽을 덮고 있는 세포로 체강을 이루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hn)은 존재하며 오히려 소장보다 그 길이가 더 길고 더 밀집되어 있다. 표면과 장샘의 상피는 소장과 거의 동일하지만, 소장에 비해 점액을 분비하는 술잔세포(goblet cell)가 더 많이 출현하고 파네트세포(Paneth cell)는 관찰되지 않는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5.09.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피세포로 덮여 있는데, 이러한 장막 즉, 복막의 표면은 중피세포에서 분비된 물질에 의해서 늘 젖어 있기 때문에 유동운동이 일어 나는 동안 복막강내를 서로 스치면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2. 구강
구강은 입술, 볼, 구개, 혀등에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5.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엽사이쓸개관(imterlobular bile duct); simple columnar
2. 간밖쓸개관(extrahepatic bile duct)
(5) 좌우간관(left and right hepatic ducts);
(6) 온간관(common hepatic duct)
(7) 주머니관(cystic duct)
(8) 온쓸개관(common bile duct)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