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미과)의 분류학적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송준호, (2016). 조팝나무아과(장미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허경인, (2009). 한국산 광의의 양지꽃속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식물분류학
1. 장미아과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2.08.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미과는 초본, 관목 또는 교목으로 분류된다. 장미과에 속하는 식물들은 잎은 단엽 또는 복엽으로 호생하게 되며 꽃은 방사상칭, 완전화이며 화탁통이라고 하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산방화서, 총상화서 또는 원추화서에 달리지만 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200원
- 등록일 2020.10.14
- 파일종류 압축파일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미과 식물(0,Ⅰ)
分布 한국, 일본, 중국
被害 장미과 식물중 배, 사과등 과일의 질과 생산량을 상당히 저하시키기 때문에 일반농가에서는 붉은별무늬병등으로 잘 알려져 있다. 조경수종인 명자꽃, 산당화, 산사, 야광나무등에서는 잎의 앞면
|
- 페이지 3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08.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미과
원산지 : 한국
용도 : 시선을 아래로 끌어내리는 효과 때문에 특히 물가에 식재하면 잘 어울릴 수 있다. 공원의 산책로, 정자, 호숫가 등 물이 있는 곳에 관상수나 가로수로 식재한다. 수피는 약용, 열매는 식용하기도 한다.
특성 : 산골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8.1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미과의 낙엽활엽 소교목.
학명 Crataegus pinnatifida
분류 장미과
분포지역 한국·중국\\·시베리아 등
자생지 산지
크기 높이 3∼6m
본문
아가위나무라고도 한다.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3∼6m이다. 나무껍질은 잿빛이고 가지에 가시가 있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