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 "KBS를 상시 방재기관으로," 「신문과 방송」, 1995. 9.
정연구, "선진국의 재난방송체제 현황," 「放送文化」.
정연구, "재난보도와 인권", 「言論仲裁」, 1995, 겨울, 통권57호.
정연구, 재난보도와 인권, 「言論仲裁」 서울: 언론중재위원회,
|
- 페이지 181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10.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도준칙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먹구구식의 사건 나열식의 보도를 하기에 급급하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표 2) KBS와 MBC의 방송강령
) 한국언론연구원,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준칙과 보도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1996, pp.280∼281
KBS방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05.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재난재해방송보도의 문제점
1. 성수대교 붕괴사건
2. 대구 상인동 가스폭발사고
3.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4. 시 프린스(Sea Prince)호의 기름 유출사건
Ⅴ. 일본 재난재해방송보도의 사례
Ⅵ. 향후 재난재해방송보도의 개선 과제
1. 보도의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재난관리청>의 신설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점을 밝혀두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정탁, 재난방송의 사회적 기능, 방송문화, 1995
이창현, 재난과 방송보도, 소방 2000년, 1995
이성림, 재난보도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고려대 정책과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안 :삼풍백화점 붕괴사고를 중심으로". 우암논총 제 31집, 청주대학교, 2009
11. 정란,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의 원인과 교훈", 건축구조기술사회지 v.12, 2005
12. 박홍신, "삼풍백화점의 붕괴사고로 인한 제도적 장치의 개선성과와 향후 개선방안"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1.04.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