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압= ,
실효 전압()=
(4) 전류 측정
오실로스코프는 전압을 시간적으로 표시하는 측정이기 때문에 그대로 측정할 수 없다.
1)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프로브를 이용한다.
2) 전압 강하를 이용한다. 즉, 측정하려고 하는 곳에 저항을 넣고 전압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압= ,
실효 전압()=
(4) 전류 측정
오실로스코프는 전압을 시간적으로 표시하는 측정이기 때문에 그대로 측정할 수 없다.
1)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프로브를 이용한다.
2) 전압 강하를 이용한다. 즉, 측정하려고 하는 곳에 저항을 넣고 전압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100원
- 등록일 2007.04.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압 6V를 가지는 사인곡선의 파형
브리지 정류를 통과한 파형 : 최대 전압 를 가지는 전파정류 파형
<그림 2.1> 스코프 측정 화면
<그림 2.2> 회로도
<그림 2. 3> spice 결과
* 변압기 출력의 측정값은 6V가 아닌 다이오드의 전압 강하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10.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저항이 있으므로 다이오드는 이상적인 스위치는 못된다. 즉, 다이오드의 순방향 저항 때문에 입력전압의 일부는 각 다이오드의 순방향 저항 양단의 전압강하로 나타나므로 저항 양단의 출력전압은 입력전압의 음의 반주기보다 적은 값이 된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저항이 있으므로 다이오드는 이상적인 스위치는 못된다. 즉, 다이오드의 순방향 저항 때문에 입력전압의 일부는 각 다이오드의 순방향 저항 양단의 전압강하로 나타나므로 저항 양단의 출력전압은 입력전압의 음의 반주기보다 적은 값이 된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측정계기
DMM 또는 VOM
0-10mA 밀리암미터
저항기(1/2-W, 5%)
100-Ω 7개
기타
SPST 스위치
4. 실험과정 Pspice로 구현 실험 21. 최대 전력전송
1. 실험 목적
2. 관련이론
3. 실험 준비물
4. 실험과정 Pspice로 구현
실험 22. 망로(網路)전류를 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12.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압에 관한 법칙으로서 임의의 폐회로에서 회로 내의 모든 전위 차의 합은 0이다.
즉, 임의의 폐회로를 따라 한 바퀴 돌 때 그 회로의 기전력의 총합은 각 저항에 의한 전 압 강하의 총합과 같다.
- 직렬, 병렬 다이오드 회로를 통해 AND게이트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6.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압 딥) 전기 시스템에 있어서 한 곳에서의 돌연한 전압 강하시 수 사이클에서 수 초의 짧은 시간 후에 전압이 회복되는 것을 말한다. Voltage Unbalance (전압 불공평) 다상 시스템에 있어서 1개의 상과 다음상 사이에서 상전압의 실효값 또는 위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압과 주파수, 그리고 실험 측정 시 사용한 케이블을 고주파에도 신호를 잘 전달할 수 있는 동축케이블과 같은 실험장비를 사용 할 수
있었다면, 20kHZ보다 더 높은 주파수에서 한계주파
수를 찾을 수 있었을 것이다.
3) 케이블저항
케이블의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압 VAC와 출력전압 VDC에 대해 위 (2)의 실험을 반복하시오.
예비 고찰
① 출력-전류의 파형은 다이오드 특성곡선의 곡률 때문에 반쪽 정현파와는 다르지만 대부분의 실제 응용에서는 인가전압이 다이오드 양단에 걸리는 순방향 전압 강하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3.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