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선속은 0 이 됨을 볼 수 있다. 폐곡선 안으로 들어오는 전기력선만큼 밖으로 나감을 확인할 수 있고, source를 포함하는 폐곡선을 그리면 알짜 전기선속은 0 이 아니다. 그 이유는 앞의 실험에서 설명했듯이, 의 가우스법칙을 항상 만족해야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에 비해 매우 크거나, 판의 중심부에서는 이러한 가장자리 효과를 무시할 수 있고, 근사적으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포갬의 원리에 의해 두 판에 의한 전기장은 각 판이 만드는 전기장을 더하여 얻을 수 있다. a와 c에서는, 판1과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1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선속이 직선이 되는 I0을 기록하여 I’-I0를 I로 이용하는 것이므로 우리가 한 실험에서는 I0가 0이 아니었고 전기 선속이 직진하지 않았으므로 I0가 0일 때는 전기선속이 직진했을 것 이었을 것을 가정하여 I0를 0으로 두고 계산했을 때 제대로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11.26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나왔고 2차코일은 0.158V 가 나와 의외로 많은 오차를 주었다. 그리고 감은수는 이상이 없을것같지만 아마도 기전력에 영향을 다른데서 주었다고 판단된다. 즉 전기선속에 따른 오차가 영향이 컷을것이라 생각된다.
먼저 제일큰 오차를 주는것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므로 모순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개념이 도입되어야 한다.
이제 축전기가 충전되고 있는 경우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축전기에 전하가 모이게 되면 대전판 사이에는 전기장 와 전기선속 가 증가하게 되며, 전기장과 전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0.10.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