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전기장의 세기, d=두 점의 간격)
위 식을 사용하면 등전위선 위에서도 거리 d는 존재하므로 V=0일 때, E도 0이다. 결국 전하 q가 받는 전기력(F=qE)는 0이 되고, 전하가 힘을 받지 않으므로 이동하지 못한다. 따라서 등전위선 위에서는 전류가 흐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0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양속도이다. 벡터를 이용하여 힘을 더하면
이 된다.
이 두 경우 모두 공기에 의하여 작은 크기의 부력이 유적에 작용한다. 공기의 밀도는 유적에 비하여 약 1/1000이므로 이 힘은 무시될 수 있다.
방정식 (1)과 (2)에서 를 소거하고 전기장의 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기장E와 자기장B에 직각이 되도록 운동하게 되는 지역에 들어간다. E와 B또한 서로 직교한다. 전자선속이 형광막 S를 때리게 될 때 선속은 광점으로 나타나게 된다. 전자가 운동하게 될 전 지역은 고도로 진공화되어 있어서 공기 분자와의 충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기장E와 자기장B에 직각이 되도록 운동하게 되는 지역에 들어간다. E와 B또한 서로 직교한다. 전자선속이 형광막 S를 때리게 될 때 선속은 광점으로 나타나게 된다. 전자가 운동하게 될 전 지역은 고도로 진공화되어 있어서 공기 분자와의 충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기장 E도 변하는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을 했었다. 즉 d는 정전용량(C)와 관계가 있는데 C는 d에 반비례하고, Q=CV이므로 d가 변화함에 따라 C의 변화에 따른 Q의 변화로 인해 전기장E가 변한다는 식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E는 일정하고 d에 영향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