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사청이 있고, 그 주위에 제정·판위대·수복방이 있으며, 정전 남동쪽에 재실이 있다. 1995년 유네스코에 의해 팔만대장경, 석굴암과 함께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어숙실
재실이라고도 하며 제사 때 왕이 제사를 준비를 하던 곳으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3.0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추게 되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서무·동재·서재·청원루·전사청·전교실 등이 있다.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하여 여러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 지내는 곳으로,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는 각 4칸 규모의 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1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사청 : 제향시에 필요한 제수를 마련하고 기물을 보관하는 곳이다. 제향공간 가까이에 위치하며 제기고라고도 부른다. 전사청을 마련할 형편이 못되는 규모가 작은 서원에서는 교직사에서 이 기능을 대신한다.
누각 : 원생들의 휴식과 여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사청,장판각,존덕사)
사당의 중심과 강학 공간의 중심은 서로 일치하지 않고 사당의 중심이 우측으로 벗어나 있습니다. 참고로 보통의 경우 이들은 서로 일직선상에 놓이는데 한국에 있는 서원 대부분이 이 원칙을 따르고 있다고 해도 무리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4.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종묘의 역사
2. 종묘의 구석구석
① 외대문 (정문)
② 망묘루
③ 공민왕신당
④ 향대청
⑤ 어숙실
⑥ 공신당
⑦ 칠사당
⑧ 정전
⑨ 정전수복방
⑩ 전사청
⑪ 제정
⑫ 영녕전
⑬ 정전 악공청
⑭ 영녕전 악공청
⑮ 창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