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면을 쓰지 않고 무대에 나오는 일도 있고 <直能탈을 안씀. 가면을 쓰지 않은 얼굴.
(ひためん)>, 배우는 <直能(ひためん)>이라는 가면을 썼다고 생각하며 연기합니다.
물론 얼굴에 메이크업을 하거나, 노골적인 표정도 금지되어 있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노오 쿄겡은 원래는 그저 쿄겡이라고만 했다. 헤이안시대의 사루가쿠가 노오보다는 쿄겡에 가까웠기 대문이다. 쿄겡은 골계성, 즉 익살스러운 성격을 띤 희극을 말한다. 사루가쿠는 점차로 골계성을 지양하고 가무의 형식을 갖춘 예능으로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는 일본, 모티브 Ⅰ. 서론
Ⅱ. 일본전통가면극 노의 의의
Ⅲ. 일본전통가면극 노의 목적
Ⅳ. 일본전통가면극 노의 상연형식
Ⅴ. 일본전통가면극 노의 무대와 악기
Ⅵ. 일본전통가면극 노의 무대장치
Ⅶ. 결론
참고문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가꾸)
2-2. 무악(舞樂, 부가꾸)
2-3. 원악(猿樂, 사루가꾸)
2-4. 전악(田樂, 덴가꾸)
3. 노오의 발달
3-1. 간아미와 제아미
4. 노오의 공연 형식
4-1. 노오의 다섯 형태
4-2. 배우
4-3. 가면과 의상, 소도구
4-4. 무대
4-5. 막간극, 교겡
5. 결론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12.25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화
가) 삼국 및 통일신라의 서화
나) 고려의 서화
다) 조선의 서화
Ⅲ. 무형문화재
1. 무형문화재의 의의
2. 주요무형문화재
1) 연극
가) 인형극
나) 가면극
2) 음악
가) 아악
나) 민속악
3) 무용
가) 공중무
나) 민속무
4) 공예기술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2.0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