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인지배수OOO서
정통 11년 9월 상한, 자헌대부·예조판서·집현전 대제학·지춘추관사·세자 우빈객, 신 정인지는 두 손 모아 절하고 머리 조아려 삼가 씀.
(鄭麟趾序 解說)
정인지서문은 훈민정음해례본의 맨 끝에 붇어 있기 때문에, 이 책의 맨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1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인지의 서문에는 한글 창제의 이유와 창제자, 새로운 문자의 우수성, ‘해례본’의 편찬자와 편찬일 책의 완성과 출간 날짜는 남북의 한글 기념일과 관련이 있는데, 북한은 창제일 1443년 12월 30일(『조선왕조실록』)을 기준으로 하여 ‘조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또한 o소리는 맑고 공허하므로, 종성에 쓸 필요 없이 중성만으로 가히 음절을 이룰 수 있다.
ㄷ如 I. 서론
II. 본론(훈민정음해례)
제자해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
합자해
용자례
정인지 서문
III. 결론
IV. 참고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政道)를 실현하고자 한 원대한 이상에 터잡고 있는 것이다.
정인지의 해례 서문에서 신문자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以二十八字 而轉煥無窮 簡易要 精而通 故智者不終朝而會 愚者可浹旬而學……無所用而不備 無所往而不達 雖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8.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인지는 두 손 모아 절하고 머리 조아려 삼가 씀.
<鄭麟趾序 解說>
정인지 서문은 훈민정음해례본의 맨 끝에 붇어 있기 때문에, 이 책의 맨 앞에 있는 세종대왕의 서문과 구별하기 위하여 「鄭麟趾後書」라고도 한다. 정인지 서문은 세종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9.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