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60건

훈민시조 종장의 특이성 1) 종장 제1음보 정형성 파괴 2) 종장 제4음보 정형성 파괴 2. 향유(享有)의 방식 3. 훈민시조의 작가와 작품 1. 지방행정관료 1) 주세붕(周世鵬)의 「五倫歌」 2) 宋純의 <五倫歌> 3) 정철(鄭澈)의 <訓
  • 페이지 3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1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훈민시조를 가곡창에 얹어 가창의 방식으로 향유한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훈민시조는 어떠한 방식으로 향유되었을까하는 의문이 남게 된다. ①短歌 열여섯편은 곧 선조(宣祖)朝 相臣 정철이 강원감사로 있을 때 지은 것이다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3.1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훈민가> 작품론 1. 내용 요약 아바님 날 나시고 어마님 날 기시니 목 쥐시거든 두 손으로 바티리라. 두 분 곳 아니시면 이 몸이 사라실가 나갈 디 겨시거든 막대 들고 조리라 하 업 은덕을 어ㅣ 다혀 갑오리. 향음쥬 다 파 후에 뫼셔 가려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시조 작품; 주세붕과 송순의 <오륜가>, 이황<도산십이곡>언학편 ③유형; 목민관으로서 관내 백성의 타락한 윤리의식을 일깨우려는 목적->황해도 관찰사로 재직시 주세 붕의 오륜가, 강원도 관찰사로 재직 시 정철의<훈민가>, 훈
  • 페이지 53페이지
  • 가격 3,800원
  • 등록일 2008.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정철의 《관동별곡》《사미인곡》등 일련의 작품들은 그 혁신성이 뚜렷함에도 불구하고 그 주제사상적지향에서는 연군가사계열에 속한다. 4)한자시의 활발한 창작 ·새로 건립된 이왕조의 척불숭유정책에 따라 15~16세기 유학교육의 급속한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07.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