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훈민가」를 \'외워서 익히게\'(誦習)해야 한다고 하였다. 백성들에게 「훈민가」를 노래 부르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암송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 글로 미루어 볼 때, 백성들은 훈민시조를 가곡의 창인 노래로 향유한 것이 아니라 \'외우고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3.1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향유(享有)의 방식
3. 훈민시조의 작가와 작품
1. 지방행정관료
1) 주세붕(周世鵬)의 「五倫歌」
2) 宋純의 <五倫歌>
3) 정철(鄭澈)의 <訓民歌>
2. 재지사족의 훈민시조
1) 박선장의 오륜가
2) 김상용의 오륜가
3) 박인로의
|
- 페이지 3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1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가는 지극히 평범하다. 그러나 최고의 시인이라 할 수 있는 정철이 이 작품들을 이처럼 평범하게 지은 것에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그 첫째는 백성들에게 널리 전파하고 깨우침을 주기 위한 것이다. 평범한 진리는 평범한 방식으로 풀어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3.08.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향유층이 변하고 시조와 연시조가 연행공간에 편입되면서 형식상의 형태는 유지되었지만 기본개념이 변질 된 것이다. 연시조가 담당층인 사림의 이념을 드러내고 당대의 정치적 상황을 드러내는 데는 중요한 의의가 있지만 시대의 변화에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10.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식 정재호, 한국가사문학연구, 태학사, 1996 / p436~461, 박연호, 『초당문답가』의 지향과 창작기반
교훈가사에 나타난 문제적 상황은 작가가 기반하고 있는 환경을 반영하고, 이에 대한 작가의 태도는 작가의 의식을 반영한다. 『초당문답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