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형식적 종주권을 실질적 종주권으로 발전시키려 노력함
*조선에 대한 내정간섭 심화 ⟶ 조선 정계 일각의 반발을 낳아 갑신정변의 요인이 됨. 시대적 배경
Ⅱ.청일경쟁의 심화
1.임오군란과 제물포조약
2. 갑신정변과 청일천진조약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6.09.2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열강과 맺은 조약 >
1876 조일수호조규(강화도조약)
수호조규부록
1차조일통상장정
1882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내정고문,내지통상권)
제물포조약 - 임오군란->배상금
조미수호조규(청의중재,치외법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9.06.29
- 파일종류 엑셀(xls)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약(제물포조약) : 1882년 4월 ; ‘최혜국대우’조항이 들어감.
조선이 서양에게 최초로 문호를 개방한 조약.
이후 영국독일러시아프랑스 등등 서국 제국주의 국가들과 국교를 맺는데 선도적 역할을 함.
*중국 - 조청 상민수륙무역장정 : 1882. 9.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4,200원
- 등록일 2012.09.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약:최혜국대우최초,관세권최초, 치외법권인정
6월. 임오군란
7월. 제물포조약(박영효-태극기): 최초외국군대주둔허용
8월. 고종의 동도서기로 교서 - 척화비 철거
10월. 상민수륙무역장정 - “조선은 청의 속국이다”
1883
6월. 조일통상장정(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9.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민수륙무역장정(朝淸商民水陸貿易章程)을 체결하여 청나라 상인의 통상 특권을 규정하고, 경제적 침투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일본이 후원한 갑신정변은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일본의 몸부림이었다. 그러나 갑신정변은 실패로 돌아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