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주의」전남대 5.18연구소, 2001
◎ 권귀숙, 제주 4·3의 사회적 기억, 한국사회학, 2001
◎ 김익렬, 4·3의 진실, 전예원, 1994
◎ 노민영, 잠들지 않는 남도 - 제주도 4·3 항쟁의 기록, 온누리, 1988
◎ 박찬식, 제주4,3사건 관련 행형자료와 형무소 재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8.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주역사, 각
양정심(2006), 미군정·이승만 정권의 제주4·3항쟁에 대한 인식, 한국근현대사학회
양정심(2008), 제주 4.3항쟁, 선인
지만원(2011), 제주 4 3 반란 사건, 시스템
제주4.3연구소(2002), 무덤에서 살아나온 4.3 수형자들, 역사비평사
Chang Hoon K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8.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3과 같은 사건이 서울이나 부산, 광주 등 대도시에서 발생했다면 아마도 오래전에 진상규명 논의는 어느 정도 매듭지어졌을 것이다.
1987년의 6월 항쟁은 제주43의 진상규명 운동에 기폭제 역할을 했고, 이후 오랜 세월 외면했던 언론도 서서히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8.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주사람들이 더욱 더 많은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고 4월3일이 되면 기념관을 찾아가며 4·3사건을 마음 속에 새기며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
6. 제주43이 남긴 교훈
제주43사태는 정부의 공식적인 사과가 노무현대통령 시절에야 이행될 정도로 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4,200원
- 등록일 2022.05.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가?,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허호준(2007), 제주4ㆍ3 전개과정에서의 5ㆍ10선거의 의미,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허호준(2003), 제주 4·3의 전개과정과 미군정의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5·10 선거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Ⅰ. 서론
Ⅱ. 5 10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1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