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에는 대청과 온돌이 따로 존재 했던 것이 아니라 함께 집을 이루고 있었다.
4. 조선시대의 정원
조선시대에는 정원이라는 용어와 더불어 원유라는 용어도 많이 사용하였는데 이는 바로 담장안의 외부공간만이 정원이 아니라, 담장 밖 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랑채
(2) 안채
2) 조경의 특성들
3) 대청의 정의
3. 서민주택
1) 주택의 종류
(1) 굴피집
(2) 너새집
(3) 초가집
2) 지역별 주택의 유형
(1) 남부 지방
(2) 중부 지방
(3) 북부 지방
참고문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조선시대 집의 특성
1-1)음양오행과 풍수지리설,내외법,가대제한 등
1-2)양반집의 가옥 구조
2)조선시대 집의 분류
2-1) 재료별 분류 --- 초가집 너와집 귀틀집 등
2-2) 지방별 분류 --- 북부 남부 지방 여러형
3)조선시대 정원
3-1) <소쇄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4.10.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을 사용한다
남부지방
一자형의 평면 형태로, 3칸 또는 4칸으로 지어졌다.
부엌은 주로 왼쪽에 두고 큰방과 작은방 앞에는 툇마루를 깔아 사용하고
4칸 집은 대청을 남쪽 방향에 두었다. 지붕 줄매기는 일자매기 방식을 사용한다
4조선시대 정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4.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집 이야기, 박영순 외, 열화당>>
<<한국의 전통민가, 주남철, 대우학술총서>
<<한옥의 공간문화, 한옥공간연구회>>
<<한국의 전통민가, 대우학술총서>>
<<한옥의 공간문화, 한옥공간 연구회> □ 조선시대 집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4.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